기억/책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

hudieboy 2018. 8. 23. 20:10

최근 우리 사회의 '페미니즘' 이슈는 너무 혐오로 치우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남성과 여성을 이분화하고, 여성이 아닌 모든 것을 배척하는 듯이 보인다.


페미니즘을 알고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나쁜 페미니스트'라는 책을 읽었고, 그런 생각을 했다.

페미니스트라고 자칭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자고. 여성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그러니 당당하게 페미니스트라고 말하자고.


그러나 최근에는 그게 조심스럽다. 페미니스트=남성혐오자 같은 공식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페미니스트는, 결국은 평등주의자에 가까운데 말이다. 

여성뿐만이 아니라 수많은 사회적 약자들의 편에 설 수 있는, 그게 내가 생각하는 궁극적인 페미니즘이다.


벨 훅스의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에서 나는 내가 그리는 페미니즘을 만날 수 있었다.


그녀는 서문에서 이 책을 쓴 이유가 누구에게나 쉽게 권할 수 있고 쉽게 이해되는 책이 필요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흑인 페미니스트이자 사회운동가인 벨 훅스는 이 책을 통해 페미니즘을 다양한 관점에서 보여준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페미니스트 사이에서도 특권을 가진 계급과 그렇지 않은 계급이 나뉘어왔다는 것이다.
저자가 흑인이기에 저술할 수 있는 부분인 것 같다.

또한 가정폭력을 말하는 부분에서 가정폭력의 가해자를 남성으로 한정지을 수 없다는 부분도 그랬다.
여성 역시 아동에게는 가정폭력의 가해자가 될 수 있는데, 그러한 사실을 외면한 채 남성만을 비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페미니즘은 빈곤층, 아동, 성적 소수자,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사상이 되어야 한다.
이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사회를 바꾸기 위해서는 사회 모든 구성원들의 동의와 행동이 필요하다.
그러니 나와 다르다고 해서 그들을 배척할 것이 아니라 그들을 동지 삼아 함께 움직여야 하지 않을까.

페미니즘은 성차별주의에 반대한다. 남성의 특권을 벗던지고 페미니즘 정치를 기꺼이 포용한 남성은 투쟁의 소중한 동료이자 페미니즘을 위협하는 존재가 아니다. 반면 여성이라 해도 성차별주의적 사고와 행동에 젖은 채 페미니즘 운동에 잠입한 여성은 운동에 해를 입히는 위험한 존재다.

읽는 내내 저자에게 많이 배우고, 그리고 깊이 동감했다.
사랑에 기반한, 그리고 더 큰 사랑을 사회에 가져올 수 있는 페미니즘, 그런 것이 우리 사회 페미니즘의 미래였으면 한다.
정말 모두가 페미니스트가 되는, 그런 미래가 있으면 좋겠다.

진정한 페미니즘 정치는 언제나 우리를 속박에서 자유로, 사랑이 없는 곳에서 사랑이 넘치는 곳으로 이끈다. 상호동반자 관계야말로 사랑의 토대다. 그리고 페미니즘의 실천은 상호성의 토양을 만드는 우리 사회의 유일한 사회운동이다.

페미니즘 정치의 목표는 지배를 종식하여 우리가 있는 그대로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게끔 우리를 해방하는 것이다. 얼마든지 정의를 사랑하고, 평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말이다. 페미니즘은 모두를 위한 것이다.


덧.
'해제'를 읽으며 '예민함'에 대한 서술을 보았다.
페미니즘이라는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되며 당연하게 여겨왔던 것들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그러다가도 '내가 너무 예민한가?'라고 생각하게 된 일이 많았다.
권김현영의 글을 읽으며 다소간의 위안을 받았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런 '예민함'을 버리지 않겠다고 생각했다.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용기는 없지만, 무언가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끊임없이 생각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고 생각하기에.


나는 이런 시대에 특히 '예민함'이라는 감각이 재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민하다는 것은 상처를 잘 받는다거나 약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예민한 사람들은 상황을 잘 이해하는 사람들이다. 예민함은 이상한 상황을 이상하다고 '생각하고', 이상다고 '말할 수 있는 능력'이다. 예민하다는 건 주어진 질서의 오류와 모순을 눈치챌 정도로 지적이며 동시에 강인하다는 것기도 하다. 생각을 멈추지 않는 삶이라는 점에서 예민함이라는 감각은 (푸코의 표현을 빌리자면) 자기에의 배려 혹은 통치되지 않으려는 의지로 이어질 수 있다. 예민함은 약자에게 강요되는 부정의한 제약을 거부하는 감각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생각하고 할 수 있는 능력'은 때로 권력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