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등
꽤 오래 전에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는 유행어가 생긴 적이 있다.
그 말을 듣고 많이들 웃었고 많이들 그 말을 써먹었지만, 안타깝게도 우리 사회는 거기서 더 많이 나아가지 못한 듯하다.
영화 <4등>을 보고 문득 그 유행어가 떠올랐다.
영화의 주된 인물은 아들에게 수영을 가르치면서 아들이 1등을 꼭 하기를 바라는 엄마, 그냥 어릴 때부터 수영이 좋아서 지금도 수영을 하고 있는 아이, 그리고 체벌을 해서라도 아이를 가르쳐야 한다는 신념(?)을 가진 코치 정도다.
엄마는 무섭다. 치맛바람 정도로는 형용이 안 될 것 같다.
아들이 나가는 수영대회마다 4등, 4등, 4등이자 안달복달하고, 좋은 수영 성적을 내는 아이의 엄마를 찾아가고, 아이가 상처 받을 수 있다는 만류에도 기어코 코치를 소개 받고, 그가 아들을 체벌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도 침묵한다.
아들이 처음으로 2등 메달을 따게 되었을 때에는 '거의 1등!'이라는 말로 아들을 칭찬한다.
2등도 성에는 차지 않는 모양이다.
이 엄마가 절에 가서 가족들을 위한 소망을 하나씩 빌 때, 자신의 소망은 거기에 없다.
남편의 건강을, 큰아들의 수영 1등을, 작은 아들이 공부 잘 하기를 빌면서 자신을 위한 소망은 없는 것이다.
이거 어떻게 보면 전통적인 '엄마'의 희생으로 느껴질 수도 있는 부분이다.
이 부분만 뎅겅 잘라서 잘만 포장하면 자신은 뒷전이고 가족만을 생각하는 어머니의 희생정신... 이렇게 될 수 있는데.
그런데 나는 이 영화 속에서 아들이 행복하건 뭐건 메달만 목에 걸면 되는 엄마만 봐왔기 때문에 자신을 잃고 맹목적으로 아들들에게 채찍질을 가해 아마 자신이 못이뤘을 무언가를 이루게 하려는 이 엄마가 너무나도 무서웠다.
자식이 이 엄마에게 수단일 뿐이라는 생각은 큰아들이 수영을 그만두겠다고 선언한 이후에도 잘 보인다.
수영을 그만두겠다고 말하는 순간 큰아들은 그녀의 안중에도 없다.
이제 타겟은 작은 아들이다. 그녀는 이제 작은 아들의 학원 드라이버가 되어 아들을 학원 이곳저곳으로 나르고, 이 선생님은 어떠냐 저 선생님은 어떠냐, 배운 건 무엇이고 성적은 어떠냐, 그런 걸 집요하게 묻기 시작한다.
그래서 작은아들은 말한다. "형이 다시 수영 했으면 좋겠어."
수영이든 공부든, 큰아들이든 작은아들이든, 그녀에겐 아무 차이가 없는 것 같다.
자신에게 '내 아들 1등'이라는 왕관을 씌워줄 수만 있다면.
그녀가 아들들을 위해 하고 있는 모든 것은 아들을 위한 숭고한 희생이 아니라 그녀 자신만의 자기만족을 위한 '희생놀이'이지 않은가.
큰아들 준호는 수영을 좋아하는 아이이다. 다만, 어른들이 왜 1등 1등 하는지는 이해하지 못한다.
1등 해야 엄마가 좋아하고 수영도 계속 할 수 있을 것 같으니 다른 1등에게 물어보기는 하는데, 왜 그렇게 기를 쓰고 1등을 해야 하고 뭐가 그렇게 좋은 건지 스스로는 체감하지를 못한다.
그런 준호에게 엄마는 '집중'하라거나 '열심히 해야한다'라고 말한다.
나는 준호 대신에 말해주고 싶었다. 왜 모든 일은 열심히 해야 하나요? 좋아하는 일을 즐거운 만큼만 하면 안 되는 건가요?
이 섬뜩한 영화에서도 아름다운 장면이 있는데, 준호가 물 속에서 햇빛이 비추어주는 길을 따라 레인을 가로질러 헤엄치는 장면이 그랬다.
뒤에 대사로 나오는데 준호는 햇빛을 통해 우주의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다고 믿는, 아이다운 생각을 아직 할 수 있는 그런 아이다.
그런데 그 바로 다음 장면은 어떤가. 이 아름다운 수영은 곧바로 코치에게 얻어터지지 않기 위한 추격전이 된다.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좋아하는 것을 하고 좋아하는 순간을 즐겼다는 이유만으로 빗자루가 부러지도록 맞아야 한다니.
이렇게 내내 어른들 등쌀에 좋아하는 수영까지 그만두고, 그러고도 수영이 하고 싶어 욕조에 몸을 푹 담글 만큼 안쓰럽던 준호가 섬뜩해지는 장면이 있는데.
수경을 만졌다는 이유로 동생에게 자신이 당한 것과 똑같은 체벌을 가하는 모습이었다.
체벌 후에 도구를 책상으로 신경질적으로 던지는 것까지 완벽...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고, 폭력은 이렇게 세습된다. '나도 그랬으니까'라는 합리화가 얼마나 무서운가.
갈등 끝에 수영을 그만두기까지 했던 준호는 영화 마지막에 결국은 1등을 한다.
코치 선생님의 체벌로? 엄마의 1등1등 타령을 위해서? 아니다.
코치가 '예언'했듯, 아무의 간섭도 받지 않고 스스로 해낸 1등이었다.
1등을 하고 수영장을 걸어나가는 준호에게 한 꼬마가 준호가 언젠가 했던 것과 같은 질문을 한다.
"형, 1등 하면 기분이 어때요?" 그 아이도 준호와 같은 상황을 겪고 있을까.
하지만 적어도 준호는 이제 그 질문에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누군가에게 등떠밀려 이뤄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더 풍부하게 그 기분을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자소서 같은 거 쓸 때 이런 말을 자주 넣었었던 기억이 난다. '열심히 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진정 자신이 하는 일의 즐거움을 깨닫고 즐기는 것의 힘.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것은 왜 '1'이라는 숫자가 중요한지가 아니라 왜 이것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하면 즐거울지, 그런 방법이 아닐까.
코치는 나름대로 스토리가 있는 사람이다. 영화 보기 전에는 코치는 체벌하는 사람 정도의 정보만 알고 봤었는데, 의외로 영화의 도입부가 코치의 과거 이야기이다.
그는 촉망받던 수영 유망주이자 천재였으나 자신의 실력을 과신하였는지 밤새 술을 퍼마시는 건 물론이거니와 도박에 빠져 선수촌 합숙에 열흘이나 늦게 합류하기까지 한다.
결국은 돌아간 선수촌에서 크게 체벌을 당하다 뛰쳐나오고, 그리고 현재의 그 자리이다.
그는 영화에서 이렇게 이야기한다. 그때 누군가 자신을 잡아주었더라면 자신은 이렇게 살지 않을 것이라고.
그래서, 자신이 겪어본 바로 체벌이 비뚤어진 누군가를 바로잡는 데 최고이기 때문에 자신도 체벌을 가해야 한다는 합리화이다.
그는 진심으로 그렇게 믿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게, 준호가 수영에 재능이 있다는 걸 발견하는 순간 체벌이 시작된다.
체벌을 가한 후에는 으레 가해자들이 그러하듯 맛있는 걸 사 주거나 '선생님이 네가 미워서 그러는 게 아니라 너 잘 되라고'로 시작하는 감언이설을 하거나 하고.
근데 내가 그를 통해서 섬뜩함을 느낀 건 그가 아이에게 고함을 질러대거나 욕을 할 때도, 아이를 때려댈 때도 아니었다.
그가 스포츠 기자인 준호의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였다.
선수촌에서 뛰쳐나온 후 그는 당시 한 번 같이 술을 마신 연이 있던 준호의 아버지에게 전화를 걸어 체벌이 있었던 상황을 (물론 자신에게 매우 유리하게) 이야기하며 기사화를 부탁한다.
그랬던 그에게 준호의 아버지, 그 기자는 이렇게 대답했다는 것이다.
"맞을 짓을 했겠지."
이 대목의 어디가 섬뜩했냐면, 은연중에 내가 '당연히 맞을 짓을 했지. 지가 잘못해놓고.'라고 생각하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기 때문이다.
준호에게 가해지는 체벌이 부당하다고 영화 내내 생각하고 있었으면서 누군가에게는 그런 체벌이 합당하다고?
'맞을 짓'이라는 게 있다고 생각하는 내 자신에 조금 놀랐다.
'맞을 짓'이라는 개념을 인정해버리는 순간, 세상 모든 체벌에는 이유가 생기지 않을까.
그러니 차라리 공평한 규칙 등을 통해 제약을 가하더라도 체벌은 전면적으로 없어지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 - 이까지 생각이 정리가 되었다.
성적만능주의, 체벌, 이런 우리 사회의 한 면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영화였다.